북구 갑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구 갑은 대구광역시 북구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5대 총선을 앞두고 북구 선거구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20대 총선에서 복현동을 편입했다. 관할 구역은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이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의익, 박승국, 이명규, 권은희, 정태옥, 양금희, 우재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선거구 - 달성군 (1996년 선거구)
달성군 (1996년 선거구)는 1995년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신설되어 달성군 전역을 관할하며, 보수 정당 강세 지역으로 김석원, 박근혜, 이종진, 추경호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선거구 - 수성구 갑
수성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범어, 만촌, 황금, 고산 등의 지역을 관할하며, 박철언, 김부겸, 주호영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대구 북구의 정치 - 북구 을 (대구)
대구 북구 을은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범위 변경과 복현동의 편입 등의 변화를 거쳐 보수와 진보 진영 간 힘겨루기 속에서 20대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 당선이라는 이변을 낳았으며, 현재는 무태조야동, 관문동 등 여러 행정동을 관할한다. - 대구 북구의 정치 - 대구 북구청장
대구 북구청장은 대구광역시 북구를 관할하는 자치단체장으로, 1995년 민선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주민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이명규, 이종화, 배광식 등이 역임했다. - 199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5년 설치 이후 민주당계와 보수정당이 번갈아 의석을 차지하며 정치 상황과 지역 여론을 반영해왔다. - 199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
성남시 중원구는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시 중원구 전역을 관할하며, 조성준, 이상락, 신상진, 김미희, 윤영찬, 이수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보수와 진보 정당이 번갈아 당선되는 경합 지역이다.
북구 갑 (대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북구 갑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대구광역시 |
연도 | 199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북구 |
의원 | 우재준 |
정당 | 국민의힘 |
의원수 | 1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선거구에서 독립하면서 신설되었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을 선거구에서 복현동을 편입했다.
2. 1. 선거구 신설 및 변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선거구에서 독립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고성동, 칠성1가동, 칠성2가동, 침산동, 노원1·2가동, 노원3가동, 산격동, 대현동이 북구 갑으로 묶였으며, 나머지 지역들은 북구 을이 되었다.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을 선거구에서 복현동을 편입했다.
3.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15대 | 북구 고성동,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1·2가동,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1동, 대현2동, 대현3동 |
16대 ~ 19대 | 북구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1·2동, 노원3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1동, 대현2동 |
20대 ~ 현재 | 북구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
1996년 | 자유민주연합 | 이의익 | |
1998년 | 한나라당 | 박승국 | |
2000년 | 한나라당 | ||
2004년 | 한나라당 | 이명규 | |
2008년 | 한나라당 | ||
2012년 | 새누리당 | 권은희 | |
2016년 | 새누리당 | 정태옥 | |
2020년 | 미래통합당 | 양금희 | |
2024년 | 국민의힘 | 우재준 |
5. 역대 선거 결과
1996년 재보궐선거부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대구 북구 갑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1996년 재보궐선거 | 이의익 | 자유민주연합 | 33,352 | 41.93 |
199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박승국 | 한나라당 | 23,046 | 47.1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박승국 | 한나라당 | 37,321 | 51.06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이명규 | 한나라당 | 52,727 | 73.23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이명규 | 한나라당 | 30,323 | 52.58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권은희 | 새누리당 | 37,201 | 60.15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정태옥 | 새누리당 | 46,516 | 53.72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양금희 | 미래통합당 | 52,916 | 49.82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우재준 | 국민의힘 | 68,742 | 71.37 |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은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의 통합민주당2008 이현주 후보(5.93%),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의 민주통합당 김용락 후보(16.35%),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더불어민주당 이현주 후보(12.65%),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더불어민주당 이헌태 후보(25.79%),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더불어민주당 박정희 후보(27.27%) 등 대체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5.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1996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의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자유민주연합 이의익 후보가 41.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승국 후보는 30.61%를 얻어 2위를, 신한국당 김종신 후보는 11.67%로 3위를 기록했다. 통합민주당 이윤기 후보는 4.35%, 새정치국민회의 박화익 후보는 1.61%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의익 | 자유민주연합 | 33,352 | 41.93 |
박승국 | 무소속 | 24,355 | 30.61 |
김종신 | 신한국당 | 9,285 | 11.67 |
서창식 | 무소속 | 4,053 | 5.09 |
이윤기 | 통합민주당 | 3,461 | 4.35 |
김태달 | 무당파국민연합 | 2,106 | 2.64 |
송필목 | 무소속 | 1,640 | 2.06 |
박화익 | 새정치국민회의 | 1,288 | 1.61 |
합계 | 79,540 | 100 |
5. 2. 1998년 재보궐선거
199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박승국 후보가 당선되었다.
5. 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박승국 후보가 51.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민주연합 채병하 후보는 20.63%, 새천년민주당 안경욱 후보는 15.95%를 득표하였으며, 무소속 조원진 후보와 민주국민당 김석순 후보도 출마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한나라당 | 박승국 | 37,321 | 51.06% | |
자유민주연합 | 채병하 | 15,079 | 20.63% | |
새천년민주당 | 안경욱 | 11,661 | 15.95% | |
무소속 | 조원진 | 5,526 | 7.56% | |
민주국민당 | 김석순 | 3,499 | 4.78% | |
총합 | 73,086 | 100% |
5. 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이명규 후보가 73.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조인호 후보는 21.85%, 무소속 박인숙 후보는 3.02%, 녹색사민당 박중현 후보는 1.12%, 자유민주연합 장갑호 후보는 0.76%를 득표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이명규 | 52,727 | 73.23% |
열린우리당 | 조인호 | 15,739 | 21.85% |
무소속 | 박인숙 | 2,179 | 3.02% |
녹색사민당 | 박중현 | 807 | 1.12% |
자유민주연합 | 장갑호 | 548 | 0.76% |
총합 | 72,000 | 100% |
5. 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규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당시 대구광역시 북구 갑 지역구는 한나라당의 강세 속에서 친박연대, 자유선진당 등 여러 정당 후보들이 경쟁하는 구도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한나라당 | 이명규 | 30,323 | 52.58% | |
친박연대 | 박영민 | 19,749 | 34.24% | |
자유선진당 | 구본항 | 3,628 | 6.29% | |
통합민주당2008 | 이현주 | 3,425 | 5.93% | |
평화통일가정당 | 김진철 | 541 | 0.93% | |
합계 | 57,666 | 100% |
이명규 후보는 과반이 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는데, 이는 한나라당의 지지세와 이명규 후보의 지역 기반이 굳건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통합민주당2008의 이현주 후보는 5.93%의 득표율을 기록해, 대구광역시 북구 갑 지역에서 진보 정당의 지지세가 약했음을 알 수 있다.
5. 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권은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 수는 121,767명이었으며, 61,844명이 투표에 참여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권은희 | 37,201 | 60.15 |
무소속 | 양명모 | 11,772 | 19.03 |
민주통합당 | 김용락 | 10,113 | 16.35 |
무소속 | 구본항 | 2,758 | 4.45 |
무소속 이명규, 안경욱 | 사퇴 | ||
합계 | 61,844 |
5. 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정태옥 후보가 53.7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은희 후보는 24.53%를 득표하였고, 더불어민주당 이현주 후보는 12.65%, 국민의당 최석민 후보는 9.26%를 득표하였다.
5. 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 북구 갑 지역구는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강한 곳이다. 미래통합당 양금희 후보가 49.8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더불어민주당 이헌태 후보는 25.79%, 무소속 정태옥 후보는 19.92%를 득표하였다. 현역 의원이었던 정태옥 후보는 낙선하였다. 정의당 조명래 후보는 3.02%, 우리공화당 김정준 후보는 0.77%, 국가혁명배당금당 장금진 후보는 0.66%를 득표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미래통합당 | 양금희 | 52,916 | 49.82 |
더불어민주당 | 이헌태 | 27,395 | 25.79 |
무소속 | 정태옥 | 21,160 | 19.92 |
정의당 | 조명래 | 3,218 | 3.02 |
우리공화당 | 김정준 | 822 | 0.77 |
국가혁명배당금당 | 장금진 | 703 | 0.66 |
합계 | 106,214 | 100 |
5. 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국민의힘 우재준 후보가 71.3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희 후보는 27.27%, 자유통일당 박진재 후보는 1.35%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